SKETCH

일상 이야기

가정에서의 육아, 취미, 여행 등 미술 교사들의 일상적 관심사에 대해 다룹니다.

뮤지엄 굿즈가 떠올리는 감각의 기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25. 07. 03
좋아요3 0

본문

| 글  박소희(UX 디자이너) 

| 에디터  황유진

뮤지엄 굿즈에 끌리다


나는 언제부터 뮤지엄 굿즈에 마음이 끌렸던 걸까? 

돌이켜 생각해 보면, 나는 학창 시절에 취미로 소소하게 

뮤지엄 굿즈를 모으기 시작하다가, 성인이 되어 해외 

미술관에 다니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수집에 빠져들었다. 

어릴 적부터 예술을 좋아했던 나는 박물관과 미술관을 

자주 찾곤 했다. 전시를 보는 것도 좋았지만, 전시를 

다 본 후 발걸음을 옮긴 아트 숍에서 또 다른 즐거움을 

느끼곤 했다. 여행지에서 발견한 낯선 작가의 엽서, 

예술 작품으로 디자인된 키링, 미술관의 감성을 담아낸 

감각적인 에코백과 다이어리…… 

이런 굿즈를 구매하는 일은 예술을 나의 일상으로 데려오는

일이기도 했다. 뮤지엄 굿즈 구매는 옥션에서 작품을 

낙찰받는 일에 비유할 수 있다. 전시 관람이 끝나 갈 때면 

마음속으로 나 자신에게 묻는다. 

‘오늘 최종적으로 나에게 간택될 작품은 무엇인가?’ 

그리고 전시에서 가장 인상이 깊었던 작품의 굿즈를 나의 

공간으로 초대한다.


스위스 바젤의 바이엘러재단에서 구매한 막스 에른스트의 포스터.  

포스터는 벽에 붙이지 않고 LP 플레이어를 장식하는 용도로 활용한다.

나만의 예술 아카이브


나의 일상은 예술로 가득 채워져 있다. 우선 우리 집 냉장고 문에는 미술관 마그넷이 가득하다.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작품들로, 매일 들여다보는 나만의 예술 아카이브이다. 나는 아침에 일어나면 장욱진 머그잔으로 물을 마신다. 출근할 때에는 고흐 컬렉션 텀블러를 손에 들고 호암미술관 에코백을 어깨에 멘다. 회사에 출근하면 책상 위 콜로세움 플레이모빌을 비롯해서 여러 굿즈들이 나를 반긴다.


특히 요즘 나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것은 비트라(Vitra) 뮤지엄의 엘리펀트 마우스패드이다. 이 굿즈는 임스 부부의 엘리펀트 체어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된 것으로, 귀여운 코끼리 형태를 하고 있다. 이 마우스패드는 비트라 가구 생산 과정에서 생긴 자투리 가죽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나는 비트라 가구의 일부를 내 책상 위에 두고 사용하는 셈이다. 디자인과 컬러 또한 고급스러워서 업무 공간에 세련미를 더해 준다.

(좌상) 

미술관 마그넷이 냉장고를 수놓았다. 

(좌하

호암미술관에서 구매한 에코 크로스백. 출근할 때 간단한 소지품들을 넣기에 유용하다. 

(우상

환기 미술관에서 구매한 작은 포스터와 바르셀로나의 작은 미술관에서 구매한 유리공예 접시. 컬러가 비슷해서 조화를 이룬다. 

(우하) 

임스 부부의 엘리펀트 체어의 형태를 한 마우스패드. 귀여운 형태에 반해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에서 구매하였다. 

예술 감상의 또다른 형태


내가 뮤지엄 굿즈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재해석의 방식’이다. 

유물이나 미술품을 단순히 그대로 재현한 굿즈보다는 원작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거나 이를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재탄생시킨 굿즈에 더 마음이 간다. 모마(MoMA)나 테이트 모던(Tate Modern), 구겐하임(Guggenheim) 미술관 같은 곳에 가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기념품 숍을 구경한다. 그곳에서 판매하는 굿즈들은 하나같이 독립적인 창작물 같은 느낌을 준다. 

대개 기념품 숍은 예술 작품 감상이 끝난 후에 둘러보는 곳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뮤지엄 굿즈가 예술 감상의 끝이 아닌 그 연장선에 있다고 생각한다. 전시장에서 받은 감동을 나의 일상의 공간으로 이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뮤지엄 굿즈는 단순한 기념품이라고 할 수 없다. 그것은 감상의 연장선에 존재하는 작품의 일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요즘 MZ 세대가 뮤지엄 굿즈를 인테리어 소품이나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읽힌다. 나 역시 신혼 여행지에서 구매한 미니 포스터를 선반 위에 두고 매일매일 소소한 감상을 즐기고 있다. 
앞으로 예술성과 창의성을 담은 굿즈가 더욱 활발하게 제작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굿즈는 단순한 소유물의 의미를 넘어, 일상 속에서 예술적 감성을 나누는 매개체가 된다. 
예술이 특별한 순간에만 머무르지 않고 삶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굿즈의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나가기를 바란다.

(좌) 페기 구겐하임컬렉션의 에코백

(우상) 페기 구겐하임컬렉션의 엽서 

(우하) 반 고흐 뮤지엄에서 구매한 콜로세움 플레이모빌

추천 3 이 좋아요를 눌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